본문으로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전체

그린 뉴딜의 핵심부품, 파워반도체 산업 성장 본격화

  • 분류일반
  • 담당부서대외협력팀
  • 작성자류지현
  • 등록일2021.07.21
  • 연락처053-718-8339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KEIT, 원장 정양호)은 7월 21일 산업통상자원부, 한국반도체산업협회와 그간 추진해온 ‘신산업 창출 파워반도체*(전력 반도체) 상용화 사업’의 사업화 성과를 점검·공유하였으며,

 * 파워반도체(전력 반도체) : 전력의 변환, 변압, 안정, 분배, 제어를 수행하는 반도체

 
ㅇ K-반도체 전략의 후속과제로 추진되는 ‘화합물 기반 차세대 전력 반도체 기술개발 사업’의 추진 방향에 대해서도 논의하였다.

 

< 차세대 전력 반도체 사업화 성과점검 회의 개요 >

 (일시/장소) ’21. 7. 21() / 한국반도체산업협회(·오프라인)  방역 수칙 준수

 (참석자) 한국반도체산업협회, 파워반도체 상용화사업단, 과제 참여기업

 (주요내용) 신산업 창출 파워반도체 상용화사업(’17~’23, 836억원) 성과점검
화합물 기반 차세대 전력 반도체 기술개발 사업 추진방향

 

 현재 추진 중인 신산업 창출 파워반도체 상용화 사업 ’17년부 실리콘 및 화합물(SiC, GaN) 소재* 전력 반도체의 선제적 기반 구축 지원하고 있으며, 

  ’23년까지  836억원 투입할 계획이다. 

 * SiC(실리콘카바이드), GaN(질화갈륨) : 기존 Si(실리콘) 소재 대비 높은 전력 내구성과 효율성을 보유한 신소

 

 특히, 지난 ’19년에는  사업을 통해 부산대학교 및 기장군 의· 산단에 파워반도체 상용화센터를 구축하고, 국내 유일의 6 SiC 파운드리 시제품 제작 

  서비스를 제공 중이다.

 

 사업추진 5년차를 맞아 진행된 이번 성과점검에서는 참여기업들 연구개발을 통해 선진국 수준의 핵심기술 확보  누적(’19~’21.5)  390억원 규모의 조기 

  사업 성과가 창출되었음을 확인하였다.

 

 특히, 파워반도체상용화사업을 수행 중인 케이이씨, 파워큐브세미는 선진국에서도 단 2만이 성공한 Trench* 구조 고전압 SiC MOSFET 개발에 성공하는 등 

   핵심기술 확보도 속속 나타나고 있다.

 * Trench 형태(수직구조)로 제작된 반도체 소자  기존 수평구조 대비 소형화, 고효율화 가


< 주요 핵심기술 확보 현황 >

기업명

핵심기술 및

비고

케이이씨

1200V 100A/200A 대전력용 소자기술

해외선진사 동등 수준

파워큐브세미

2000V 고전압용 소자기술

예스파워테크닉스

SiC MOSFET/DIODE 제조기술

국내 최초 양산

(IDM으로 도약 준비 중)

시지트로닉스

GaN 6인치 CMOS 호환 공정기술

 

 

 또한, 대한민국 우수기업대상 2년 연속 수상에 빛나는 강소기업 제엠제코 부산 기장군으로 생산 공장을 확장 이전하여 부산테크노파크 파워반도체 상용화센터와 

   함께 파워반도체 생산 거점으로 자리매김할 전망이며, 트리노테크놀로지는 산업용 인버터에 이어 전장용 IGBT 시장 진출의 기반을 마련하였다.

 

 정부는 차세대 전력 반도체 분야의 성장 모멘텀 지속을 위해 지난 4 차세대 전력 반도체 기술개발 및 생산역량 확충 방안*을 수립하였으며, 5월에는 K-반도체 전략에서 

   차세대 전력반도체 육성 방안을 발표하였다. 

 * 7차 혁신성장 BIG3 추진회의(4.1)에서 발표

 

 이에 따라, 본격적인 화합물 반도체 상용화·양산기술 확보를 위 ’22년부터 화합물 기반 차세대 전력 반도체 기술개발*을 추진할 계획이다. 

 * 지원분야 : 상용화 제품 개발을 위한 수요연계 및 시제품 제작 신소재 응용 및 반도체 설계·검증 등 기반기술 강화 미래 양산 수요에 대비하기 위한 제조 공정 확보

 

 아울러, 수요-공급기업 연계 및 공동개발, 국내 제조 인프라 확충  화합물 반도체 분야의 제조 강국 도약을 적극 지원해 나갈 예정이다.

 

 정양호 원장은 사업기간 중 이렇게 높은 사업화 성과가 나온 것은 이례적으로, 산업 저변 확대 측면에서 매우 고무적이라고 밝히며, 우리 파워반도체 산업이 메모리

   반도체 산업과 같이 세계적인 경쟁력을 갖출 수 있도록 투자와 지원을 지속하겠다고 언급하였다.




콘텐츠 정보책임자

  • 담당부서 대외협력실
  • 담당자 주현진
  • 연락처 053-718-8332

최근업데이트 2024/01/25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